2023 세계노동절_강제노동철폐! 이주노동자 메이데이
-ILO국제협약준수 강제노동금지! 사업장 이동의 자유 쟁취! 노동허가제 실시!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기숙사 보장!
◌ 일시: 2022년 4월 30일(일) 14시
◌ 장소: 용산역 광장 (용산대통령실 앞까지 행진)
◌ 주최: 민주노총, 이주노조, 이주노동자평등연대, 수원이주민센터, 오산이주노동자센터
2023 International Labor Day- Abolish Forced Labor! Migrant Workers’ MayDay Rally
- Comply with ILO Convention and Prohibit Forced Labor! Achieve Freedom of Workplace Change! Introduce Work Permit System! Guarantee Decent Accommodations!
- Date: April 30th(Sun) 2pm
- Place: Yongsan station square (subway line 1, exit 2)(March to Presidential office after the rally)
- Co-host: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(KCTU), Migrants Trade Union(MTU), Alliance for Migrant Workers’ Equal Rights, Suwon Migrants Center, Osan Migrant Workers Center
사회(MC) : 라셰드 (Rashed, 이주노조 MTU memebr)
개회 선언 Opening remark |
이주노조 라셰드 조합원 (MTU member Rashed) |
대회사 Opening speech |
이주노조 우다야 라이 위원장 (MTU chairperson Udaya Rai) |
민주노총 투쟁발언 KCTU SPEECH |
민주노총 박희은 부위원장 (KCTU vice-chairperson Park Hee-eun) |
이주노동자 현장 발언 Migrants speech |
네팔 노동자 샨티(Nepalese worker Shanti), 지구인의정류장 크레르노동권협회 속파오시다대표(Khmer labor rights association chairperson Sok Paothyda) |
이주노동자 마임 공연 performance |
아시아미디어컬쳐팩토리 예술 활동가 니샤 (Asia media culture factory art activist, Nessa) ‘처음처럼’ 노래에 맞춰 마임 공연‘Like the first time’ struggle dance performance |
이주노동자단체 발언 Mogrants community speech |
필리핀공동체 카사마코 카를로 대표(KASAMMAKO chairperson Carlo), 수원이주민센터 차미카라 공동대표 (Suwon migrants center co-chairperson Chmikara) |
메이데이 선언문 낭독 Announcement of Declaration |
민주노총 서울본부 이현미 수석부위원장(KCTU Seoul council vice-chairperson Lee Huyun-mi,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법정 스님(Social&labor committee of Korean Buddhist Jogye Order, Beopjeong Monk) |
거리 행진 March |
구호 선동(이주노조 조합원)(Chanting, MTU members), 공굴리기(Rolling ball), 쇠사슬 퍼포먼스(Chain performance) |
마무리집회 Closing event |
사회자 마무리 발언 (Closing remark)/ 항의서한 전달 (대통령실)(protest letter to the President office) |
취지
- 세계 노동절을 맞이하여 ‘이주노동자 메이데이’ 대회를 개최해 이주노동자의 요구를 모아내고자 함. 윤석열 정부는 전 산업에 걸쳐 이주노동자를 확대하겠다면서 선행되어야 할 임시가건물 기숙사 환경, 산재 문제, 열악한 임금과 노동조건 등 착취와 차별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정책은 부재함.
- 한국정부는 2021년 국제노동기구(ILO) 협약 29호(강제노동금지협약)를 비준함에 따라 2022년부터 강제노동금지협약 효력이 생겼으나 이를 위반하고 있음. 대부분의 취업비자 이주노동자는 사업장 변경의 자유가 제한되어 있으며 이는 고용주가, 노동자의 의사에 반하여 강제하는 강제노동에 해당함.
- ILO 국제협약을 준수하고 강제노동을 금지할 것 요구하며 이주노동자 착취와 억압, 차별 중단, 사업장 이동의 자유 보장, 노동허가제 실시, 기숙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자 함.
주요 요구 Main Demands
- ILO국제협약준수하고 강제노동금지하라!
- 이주노동자 사업장 이동의 자유 보장하라! 노동허가제 실시하라!
- 모든 이주민, 이주노동자 인권과 노동권을 보장하라!
- 숙식비 강제징수지침 폐기하고 인간다운 기숙사 보장하라!
- 농어업노동자 차별하는 근로기준법 63조 폐기하고 노동권 보장하라!
- 임금체불 근절하라! 퇴직금은 국내에서 지급하라!
- 이주여성노동자 성차별 성폭력 근절하라!
- 이주노동자 산재예방 근본대책 마련하고 모든 이주노동자 산재보험 적용하라!
- 미등록 노동자 강제단속 중단하고 체류권 보장하라!
- Comply with ILO Convention and Prohibit Forced Labor!
- Free Job Change! Change EPS into Work Permit System!
Guarantee Human & Labor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!
- Abolish Deduction guideline of Accommodation fee and Guarantee Decent Accommodations!
- Abolish the Article 63 of the Labor Standards Law! Guarantee the Workers Rights in Agribusiness&Fishery sectors!
- Eradicate wage theft! Give Severance Pay in Korea!
- Eradicate Gender-based Discrimination and Violence on Women Migrant Workers!
- Make Countermeasures against Industrial accident death! Cover all Migrant Workers with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!